한국생산기술연구원(이하 KITECH)은 최근 에이블랩스의 노터블을 도입했습니다. KITECH에서는 노터블을 어떻게 사용하고 있는지, 또 노터블의 도입이 연구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인간중심생산기술연구소 사용자편의기술연구부문 유의상 박사 팀과의 인터뷰를 통해 물었습니다.

안녕하세요. KITECH와 인간중심생산기술연구소에 대한 소개를 부탁드립니다.
KITECH은 산업계 제조혁신 지원을 미션으로 삼고 있으며, 특히 중소·중견기업에 주목하고 있습니다. 지능형뿌리기술, 인간중심생산기술, 지속가능기술을 3대 중점 연구영역으로 선정하고 핵심기술 개발·지원을 통해 국가 산업 발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에이블랩스의 노터블을 도입한 KITECH의 인간중심생산기술연구소는 기술의 융합과 복합화를 통해 지능형 로봇, 첨단의료 및 기능성 섬유, 초정밀 나노기술, 웰니스 시스템, 문화산업기술의 개발 및 실용화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특히, 사용자편의기술연구부문에서는 사용자 맞춤형 편의 및 서비스를 제공하는 디지털 문화 및 디지털 감성·헬스케어 플랫폼 연구분야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저희 팀(유의상 박사 팀)은 섬유 기반의 공기 중 유해 인자 저감 기술 개발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공기 부유 병원체 대응 기술 개발에 착수했으며, 이는 5년에 걸친 국가 프로젝트의 일환입니다. 공기 중 유해 물질을 검출, 포집, 측정, 분석하는 통합 시스템 개발이 진행 중입니다.
노터블 도입을 통해 이루고자 한 성공 기준(Customer Success)는 무엇인가요?
저희 팀은 2023년 에이블랩스의 액체 핸들링 로봇 노터블을 도입하여, SERS(surface-enhanced Raman scattering) 준비 과정을 자동화하였습니다.
'국가 R&D 과제 완성'이라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필수적인 것은 매뉴얼 작업의 감소를 통한 효율성 향상 및 리소스 절약, 그리고 연구 속도의 증가입니다. 이를 위해 매뉴얼 작업 대비 스루풋(througput) 증가와 매뉴얼 작업 시간 감소로 리소스를 절약하는 자동화 방식을 선택했습니다.
에이블랩스의 노터블은 병원체의 바이오마커를 검출하기 위한 ELISA 어세이를 구현하는 역할로, 공기 부유 바이러스에서 추출한 용해액(Lysate)에서의 플레이트 시딩(seeding)과 불순물(non specific binding) 제거를 위한 워싱 프로세스를 수행합니다.
노터블 도입이 연구에 미친 긍정적인 영향이 있다면 말씀해주세요.
사용성 측면에서, Windy 소프트웨어를 통해 프로토콜을 작성하는 과정이 간편하기 때문에, 연구원들은 매뉴얼을 읽지 않고도 손쉽게 프로토콜을 설정할 수 있게 되었으며, 이는 연구 과정의 효율성을 향상시켰습니다.
일일 약 10시간 정도 소요되던 매뉴얼 파이펫팅 작업이 노터블 도입으로 인해 100% 자동화되었고, 이에 따라 작업 처리 시간도 반 이상 줄었습니다.
인터뷰를 통해 노터블이 연구 과정에서 시간과 노력을 크게 절약하게 해, 연구 속도와 생산성을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에이블랩스는 단순한 고객 만족을 넘어선 목표를 가지고 있습니다. 자동화 도입을 통해 고객의 목표 달성을 지원하며 'Customer Success'를 궁극적인 목표로 삼고 있습니다. 한국생산기술연구원과의 파트너십을 통해 장비 간 연동과 맞춤형 자동화 장비의 추가 개발에서의 협업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협업은 더 효율적이고 혁신적인 연구 환경을 조성하는 데 기여할 것입니다.
한국생산기술연구원(이하 KITECH)은 최근 에이블랩스의 노터블을 도입했습니다. KITECH에서는 노터블을 어떻게 사용하고 있는지, 또 노터블의 도입이 연구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인간중심생산기술연구소 사용자편의기술연구부문 유의상 박사 팀과의 인터뷰를 통해 물었습니다.
안녕하세요. KITECH와 인간중심생산기술연구소에 대한 소개를 부탁드립니다.
KITECH은 산업계 제조혁신 지원을 미션으로 삼고 있으며, 특히 중소·중견기업에 주목하고 있습니다. 지능형뿌리기술, 인간중심생산기술, 지속가능기술을 3대 중점 연구영역으로 선정하고 핵심기술 개발·지원을 통해 국가 산업 발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에이블랩스의 노터블을 도입한 KITECH의 인간중심생산기술연구소는 기술의 융합과 복합화를 통해 지능형 로봇, 첨단의료 및 기능성 섬유, 초정밀 나노기술, 웰니스 시스템, 문화산업기술의 개발 및 실용화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특히, 사용자편의기술연구부문에서는 사용자 맞춤형 편의 및 서비스를 제공하는 디지털 문화 및 디지털 감성·헬스케어 플랫폼 연구분야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저희 팀(유의상 박사 팀)은 섬유 기반의 공기 중 유해 인자 저감 기술 개발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공기 부유 병원체 대응 기술 개발에 착수했으며, 이는 5년에 걸친 국가 프로젝트의 일환입니다. 공기 중 유해 물질을 검출, 포집, 측정, 분석하는 통합 시스템 개발이 진행 중입니다.
노터블 도입을 통해 이루고자 한 성공 기준(Customer Success)는 무엇인가요?
저희 팀은 2023년 에이블랩스의 액체 핸들링 로봇 노터블을 도입하여, SERS(surface-enhanced Raman scattering) 준비 과정을 자동화하였습니다.
'국가 R&D 과제 완성'이라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필수적인 것은 매뉴얼 작업의 감소를 통한 효율성 향상 및 리소스 절약, 그리고 연구 속도의 증가입니다. 이를 위해 매뉴얼 작업 대비 스루풋(througput) 증가와 매뉴얼 작업 시간 감소로 리소스를 절약하는 자동화 방식을 선택했습니다.
에이블랩스의 노터블은 병원체의 바이오마커를 검출하기 위한 ELISA 어세이를 구현하는 역할로, 공기 부유 바이러스에서 추출한 용해액(Lysate)에서의 플레이트 시딩(seeding)과 불순물(non specific binding) 제거를 위한 워싱 프로세스를 수행합니다.
노터블 도입이 연구에 미친 긍정적인 영향이 있다면 말씀해주세요.
사용성 측면에서, Windy 소프트웨어를 통해 프로토콜을 작성하는 과정이 간편하기 때문에, 연구원들은 매뉴얼을 읽지 않고도 손쉽게 프로토콜을 설정할 수 있게 되었으며, 이는 연구 과정의 효율성을 향상시켰습니다.
일일 약 10시간 정도 소요되던 매뉴얼 파이펫팅 작업이 노터블 도입으로 인해 100% 자동화되었고, 이에 따라 작업 처리 시간도 반 이상 줄었습니다.
인터뷰를 통해 노터블이 연구 과정에서 시간과 노력을 크게 절약하게 해, 연구 속도와 생산성을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에이블랩스는 단순한 고객 만족을 넘어선 목표를 가지고 있습니다. 자동화 도입을 통해 고객의 목표 달성을 지원하며 'Customer Success'를 궁극적인 목표로 삼고 있습니다. 한국생산기술연구원과의 파트너십을 통해 장비 간 연동과 맞춤형 자동화 장비의 추가 개발에서의 협업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협업은 더 효율적이고 혁신적인 연구 환경을 조성하는 데 기여할 것입니다.